대한민국 40대 평균 자산은 얼마일까?
1. 평범한 40대, 김수진씨의 하루 일상
이른 아침, 42세 직장인 김수진 씨는 어린 두 아이를 유치원에 데려다준다. 아이 등원 후 출근길 지하철 안, 주변 사람들 모두 스마트폰을 보며 각자 바쁜 생각에 잠겨 있다. 오전 회의가 끝나면 이메일이 밀려오고, 점심시간엔 동료와 식사를 하며 “이제 아이 학원비가 한 달에 백만 원이 넘더라”고 한숨을 쉰다.
퇴근 후엔 늦은 저녁 식사, 아이와 놀아주다 보니 어느새 취침할 시간을 훌쩍 넘었다. 피곤한 몸을 이끌고 아이들을 먼저 재우고 나면 잠이 오질 않는다. 대출 상환 통장 잔고를 확인하고, 내 집 마련과 노후 준비를 생각하며 머리가 아파진다. 이런 하루를 반복하면서도, 김 씨는 이렇게 속으로 다짐한다. “그래도 이 정도면 잘 버티는 거지.” 이 평범한 일상이 바로 대한민국 40대 대다수의 삶이다.

2. 대한민국 40대 평균 자산 · 중위값은?
📊 평균 자산
통계청과 한국은행의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40대 가구의 평균 총자산은 약 5억 4천만 원 수준이며, 평균 부채는 약 1억 4천만 원, 이를 뺀 순자산은 약 4억 원이다.
📉 중위 자산
평균과 달리, 중간값인 중위자산은 약 3억 원이다. 이는 평균값에 고자산 가구가 포함되지 않고, 40대 절반에 해당하는 가구 수준을 보여준다.
3. 평균과 중위값의 차이는?
평균값은 전체 자산 총합을 가구 수로 나눈 수치로, 상위 고자산층 몇몇의 자산이 평균을 끌어올리는 경향이 있다.
반면 중위값은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자산으로, 실제 가구들의 현실을 더 잘 반영한다.
4. 40대의 평균 소득은?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40대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451만 원이다. 이는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체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363만 원, 중위소득은 278만 원이다.
💡 대한민국 40대, 나의 자산은 어느 위치에 있을까?
아래의 표를 확인해보세요. SNS를 보다보면 주변에 돈 잘 버고, 좋은 집에 살고 좋은 차를 타고 다니는 사람이 참 많습니다. 그러다보면 상대적인 박탈감도 느끼게 되고, 자신감도 떨어지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깊은 탄식에 빠지기도 합니다. 그럴 필요 없습니다. 그들은 소수이며, 우리 대부분은 다 비슷하게 살아갑니다. 매일 바쁘고 힘든 일상, 대한민국 40대 힘내십시오.
항목 | 금액 | 비고 |
---|---|---|
평균 순자산 | 약 4억 원 | 자산 5.4억 – 부채 1.4억 |
중위 순자산 | 약 3억 원 | 가구 절반이 이보다 적음 |
40대 평균 월소득 | 451만 원 | 2023년 기준 |
전체 근로자 평균 소득 | 363만 원 | 2023년 기준 |